하지불안증후군 

 Restless legs syndrome 


  •  하지불안증후군이란? 

하지불안증후군은 누워 있거나 휴식 중에 다리에 불쾌한 감각과 근질거리는 느낌이 들어 다리를 움직이지 않고서는 견딜 수 없는 충동이 일어나는 질환을 말합니다.


  •  하지불안증후군의 증상 

하지불안증후군은 휴식을 취하거나 누워있는 도중 다리가 근질거리는 느낌, 벌레가 기어 다니는 느낌, 칼로 찌르는 느낌, 타는 듯한 느낌 등 다양한 불쾌함을 경험하게 됩니다. 또한 가만히 있으면 증상이 악화하고 하지를 움직이면 일시적으로 완화됩니다. 주로 저녁, 밤에 증상이 심해지기 때문에 하지불안증후군을 앓는 대부분의 사람이 수면장애를 호소합니다.
한편 하지불안증후군의 다리 저린 증상은 하지정맥류 또는 요추간판탈출증(허리디스크)의 증상과 유사하므로 감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하지불안증후군의 원인 

하지불안증후군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뇌의 철분 결핍이 영향을 주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철분은 도파민의 전구물질인 레보도파를 도파민으로 변환시키는 효소의 조효소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철분 결핍이 도파민 작용에 영향을 미쳐 하지불안증후군이 나타나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또한 신부전, 말초신경병증, 항우울제, 당뇨병, 전립선염, 방광염 등과 연관되어 발병할 수도 있습니다.


  •  하지불안증후군의 진단 

하지불안증후군은 세계하지불안증후군연구회에서 제시한 4가지의 진단기준을 바탕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① 다리를 움직이고 싶은 강한 충동을 느낍니다. 이 충동은 보통 다리의 불쾌하고 불편한 느낌을 수반하지만 때로는 이상감각이 동반되지 않기도 합니다. 심할 경우 팔과 같이 다른 신체 부위를 움직이고 싶은 충동을 느낍니다.
② 증상은 눕거나 앉아 있는 등 쉬거나 움직이지 않고 있을 때 더 심해집니다.
③ 증상은 스트레칭을 하거나 걷는 등 운동을 지속하는 동안에는 부분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완화됩니다.
④ 증상은 저녁이나 밤에 더 악화합니다.
위의 4가지 증상은 다른 의학적/행동적 상태에 의해 설명되지 않아야 합니다.


  •  하지불안증후군의 치료 

하지불안증후군의 치료는 크게 비약물적 치료와 약물적 치료로 나눌 수 있습니다. 증상이 심하지 않으면 다리 마사지, 가벼운 운동, 스트레칭, 족욕 등 비약물적 치료를 먼저 시도합니다.
약물적 치료로는, 우선 철분 결핍이 있는 경우에는 철분제를 복용하거나 철분 주사제를 투여합니다. 심한 증상이 2주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는 도파민수용체작용제 혹은 항발작약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후로도 증상이 지속되면 저용량 오피오이드 약물을 사용해 볼 수 있습니다.